'뚝딱뚝딱'에 해당되는 글 21건

  1. 2014.07.05 7월 8~9일 신자유주의 시대의 권력과 저항 (사토 요시유키와의 만남)
  2. 2013.11.04 [알림] 다큐멘터리<맑스 재장전> 상영 및 감독과의 대화
  3. 2013.11.04 [알림] "소득" 컨퍼런스 (최저임금 1만원위원회 x 기본소득네트워크)
  4. 2013.06.17 대학의 지식공장화와 POST-U 프로젝트: 프랑코 베라르디 ‘비포’와의 공개 토론
  5. 2013.05.04 비포 <미래 이후> ㅡ 하트&네그리 <선언> part 1
  6. 2013.02.20 Commons Charters: From The Great Lakes to Madrid, with imaginings for New York
  7. 2012.09.03 [펌] 애니메이션『프랙탈』로 보는 ‘기본소득(베이직 인컴)’① -- 선정우
  8. 2012.03.30 구럼비 만나러 갈 준비 완료 2
  9. 2012.03.15 [웹자보] 2012 기본소득 국제학술대회 "금융자본주의를 점령하라" 3/16~18, 정동 경향신문 2
  10. 2011.06.30 불어로 배우는 한진重 정리해고 철회투쟁 via @bot_fr

7월 8~9일 신자유주의 시대의 권력과 저항 (사토 요시유키와의 만남)

뚝딱뚝딱 2014. 7. 5. 01:17





http://blog.naver.com/virilio73/220046531802





:

[알림] 다큐멘터리<맑스 재장전> 상영 및 감독과의 대화

뚝딱뚝딱 2013. 11. 4. 20:11



:

[알림] "소득" 컨퍼런스 (최저임금 1만원위원회 x 기본소득네트워크)

뚝딱뚝딱 2013. 11. 4. 20:08






:

대학의 지식공장화와 POST-U 프로젝트: 프랑코 베라르디 ‘비포’와의 공개 토론

뚝딱뚝딱 2013. 6. 17. 13:09









:

비포 <미래 이후> ㅡ 하트&네그리 <선언> part 1

뚝딱뚝딱 2013. 5. 4. 15:48


* Activism without full-time activists - 유목형에서 정주형으로의 운동 패러다임의 이행 (아랍혁명, OWS, 유럽 야영시위 등)

* Slience - 들뢰즈, 네그리

(27-28) 비포가 이 책에서 특히 고찰하고 있는 문제는 그런 정통 코뮤니즘에 내재된 주체적 정치 모델, 투사모델, 그리고 이것과 그리 멀지 않은 활동가모델이다. 비포는 행동주의가 자본의 무한하고 침략적인 힘에 대한 주체의 나르시시즘적인 반응이며, 활동가로 하여금 결국 좌절감, 우울함, 모욕감을 느끼게 할 따름인 반응이라고 주장한다. 비포가 보기에 반동의 시대, 사회적 장에서 정치적 창조성이 축출된 시대에 행동주의는 우울함을 떨치기 위한 필사적 시도가 되어버렸다. 욕망을 의무로 대체하게 될 것이었다.

(62-63) ‘행동주의는 반세계화 운동으로 인해 널리 영향력을 가지게 된 용어로, 반세계화 운동의 정치적 소통, 예술과 소통행위 사이의 연결성을 서술하기 위해 사용됐다. 그러나 이런 정의는 반세계화 운동이 과거와 단절하지 못했고, 20세기로부터 물려받은 개념적 참조틀에서 자유로울 수 없었음을 나타내는 표시이다. 이제 우리는 20세기를 파국과 전쟁의 지점으로 몰아간 행동주의에 대한 갈증으로부터 자유로워져야 하지 않을까? 자본의 지배로부터 인간의 에너지를 해방시키려 했던, 반복됐지만 결국 실패한 시도에서 우리 스스로를 해방시켜야 하지 않을까? 경제적군사적 동원으로부터 사회적인 것의 자율을 향해가는 길은 활동 중지, 침묵, 수동적 사보타주로의 철수를 통해서만 가능한 것이 아닐까?

 

* The Mediatized Make the Truth

(92-94) 인터넷 생산의 영역에서 주의집중을 요구하는 재화의 압도적 공급에 의해 괴롭힘을 당하는 것은 사회적 두뇌이다. 이것이 바로 사회적 공장이 불행의 공장이 된 이유이다. 인터넷 생산의 조립라인은 가상계급의 감정 에너지를 직접적으로 착취하고 있다. 이 사실을 깨달아야 한다. 우리 스스로가 인지노동자라는 것을, 끝없이 전기자극을 받는 살이자 몸이며 욕망이라는 것을.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사람들의 행동은 우발적일 수 없다. 네트워크에 참여하려면 규칙의 준수가 요구되고 명령되기 때문이다. 떼를 통치하는 원리는 내면화이다. 떼의 구성요소들은 자신들의 행동이 내재된 자동작용에 의해 추동된다는 사실을 아예 알지 못하거나 적어도 충분히 알고 있지 못하다. 인터넷에는 보이지 않는 손의 신비가 숨겨져 있다. 권위 없는 통제가 그것이다.”[케빈 켈리 인용] 접속은 의미나 애정 수준에서의 상호이해가 아니라 운영상의 복종을 요구한다.

 

* The Indebted Invert the Debt

(119-120) ‘부채개념은 미래를 놓고 벌이는 내기를 함축한다. 부채란 우리가 지금 소비하고 있는 어떤 것에 대한 대가로 우리 미래의 일부를 넘겨주는 것이다. ‘라는 개념 또한 우리가 미래에 (아마도 내세에) 속죄해야 할 어떤 것을 지금 취하고 있다는 생각을 함축한다. 일단 경제의 영역에서 보상의 원리가 동의되고 나면, 미래를 빌리는 시스템으로서의 신용이 가능해진다. 자본주의적 축적의 동학은 빌려온 미래에 투자하는 영구적 과정에 근거한다. 그리고 자본주의가 현재의 대출과 미래의 변제 사이의 관계를 승인할 때 미래라는 관념 자체는 공통의 문화적 차원이 된다. 그런데 변제의 약속이 지켜지지 않는다면, 죄와 속죄의 게임, 부채와 변제의 게임에 참여한 자들이 미래에 대한 믿음을 잃는다면, 그렇다면 무슨 일이 벌어질까?

 

* The Securitized Break Free

(126-127) 안보 이데올로기는 미디어가 부채질한 편집증의 산물이며 언제나 새로운 편집증을 먹고 살 수 있는 전지구적 안보경제 체계를 만들어내도록 설계됐다. “삶의 질을 보호할 필요가 있다이는 전쟁 선전 문구 중 진실에 부합하는 유일한 문장이었다. 인류의 20%는 전 세계 자원의 80%를 소비하는 것을 포기하고 싶지 않았다. 그러나 무엇인가가 이 시나리오 전체를 바꿔놓았다. 근본주의적민족주의적 광신과 나치-자본주의적 광신 사이의 편집증적 충돌이라는 틀 속에 3의 행위자가 출현했다. 이들은 911 이후 우리가 기다려왔고, 기업에 대항하는 전지구적 운동의 굳건한 노동으로 구축된 사람들이었다. 이 제3의 행위자는 2003215, 전 세계의 도시들에서 수백만 명이 이라크 전쟁에 항의하기 위해 행진했을 때 탄생했다. 그것은 전쟁을 퍼뜨리는 광기에 대항해 지구 전체의 일상생활이 들고 일어난 운동이었다. 우리가 215일에 목격한 것은 확장되고 급진화될 운명의 운동이었다. 그러나 이 운동이 실제로 그렇게 되려면, 사회 내부의 반자본주의적 갈등의 동력을 다시 작동시켜, 전쟁을 종식시키는 과정을 전지구적 자본주의의 신자유주의적 지배를 종결하는 것과 연결해야한다.

(148-149) 911 이후 안보에 대한 편집증이 모든 상상계에서, 첨단 기술 재화의 생산에서, 도시설계에서 주된 경향이 됐다. “공포 경제는 전반적인 기근의 와중에서도 성장하고 있다. 안전이 물, 전기, 원격통신처럼 완전히 발달된 도시 서비스가 될 것이다.”[마이크 데이비스 인용] 공황의 도시에서 서로 가까워질 시간은 더 이상 없다. 욕망은 불안으로 변하고 시간은 수축한다.

 

* Being-together / Physical proximity

(144-145) 우리는 근래에 일어난 노동자 투쟁의 경험으로부터, 불안정 노동자들의 투쟁이 순환되지 않으며 의식성조직연대 같은 사회적 침전물도 남기지 않는다는 사실을 알게 됐다. 프랙탈화된 노동도 주기적으로 반란을 일으킬 수는 있지만, 이것은 어떤 투쟁의 물결도 일으키지 못한다. 투쟁들이 확산되어 순환 과정을 이루려면 노동하는 몸들의 근접성과 실존적 시간의 연속성이 있어야만 한다. 이런 근접성과 연속성이 없다면, 세포화된 몸들이 공동체를 이룰 수 있는 조건들도 없는 셈이기 때문이다



:

Commons Charters: From The Great Lakes to Madrid, with imaginings for New York

뚝딱뚝딱 2013. 2. 20. 23:17


6. Further Readings and Related Articles 요체크. 언제 다 볼 수 있을지 모르겠으나 ㅠ 일단 킵.



[seizing_building_commoning] NYC Fwd: Thursday -- 02.14.13 -- Commons Charters: From The Great Lakes to Madrid, with imaginings for New York



---------- Forwarded message ----------
From: Sixteen Beaver 
Date: Thursday, February 14, 2013
Subject: Thursday -- 02.14.13 -- Commons Charters: From The Great Lakes to Madrid, with imaginings for New York
To: generale@16beavergroup.org



Thursday -- 02.14.13 -- Commons Charters: From The Great Lakes to Madrid,
with imaginings for New York

Contents:
1. About this Thursday
2. Evening Outline
3. Commoning in New York
4. A Note on Food
5. A Note on Love
6. Further Readings and Related Articles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1. About this Thursday

What: Discussion 
When:  Thursday February 14th 6:00pm
Where: 16 Beaver Street, 4th Floor
Who: Free and open to all

We would like to invite everyone to a discussion and evening organized
with our friends from Making Worlds.

The event builds upon existing discussions that we have each organized
over the last few years around the common(s) and more recent discussions
in which we have tried to imagine collectively different modes of pairing
struggle and antagonism to capitalism with formal/informal processes of
mutual aid, collective care and cultivation of the common(s).

The questions are basic ones concerning the processes of destruction or
privatization of the basic premises of life (food, water, air, genes,
seeds, ideas, language, learning, land, ...) and include the material
needs of being able to collectively reproduce our lives in struggle. They
also revolve around the capacity of this change in climate (both
ecologically and socio-politically) we are living through to posit or
propose alternatives to state (public?) or corporate (private?) control of
life.

The evening will unfold in two parts. 

The first part of the evening is a conversation with Isidro Lopez and
Alexa Bradley who are currently participating in the development of
commons charters. Isidro Lopez will discuss his involvement with
Observatorio Metropolitano and the “Carta de los Comunes”, a Commons
Charter for the city of Madrid [Spain] elaborated collectively in 2011.
Alexa Bradley will be discussing her current work with the Great Lakes
Commons Initiative, a broad organizing effort to catalyze a cross border
citizen movement to put human need, ecological survival and democratized
decision making at the center of the Great Lakes governance. 

More generally, commons charters are documents created by communities
seeking to take back control and care of their livelihoods and
environments. Among examples, we discover The Magna Carta’s often
overlooked Charter of the Forest written in 1066 by the commoners of
England demanding their right to use the land for their common needs:
grazing, wood for cooking, peat for fuel, and fishing rights to name a
few. In recent years, different initiatives throughout the world have
recovered these kinds of documents, as is the case of the Carta de los
Comunes (Madrid, Spain), and the Great Lakes Initiative (US-Canada). 

After this first part, we will take a break for some food (see below for
more information).

The second part of the evening, we will try to resume the discussion
focusing on some initiatives or efforts that could potentially address
these concerns in New York, Madrid and beyond (see note on commoning below
for more information).

We will also be joined by Silvia Federici and George Caffentzis and other
friends with whom we began a more public exploration of some common
concerns with 'Beyond Good and Evil Commons: Debt, Economic Crisis and the
Production of Commons' in the summer of 2011.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2. Evening Outline

Commons Charters: From The Great Lakes to Madrid, with imaginings for New
York
and 
Reclaiming a Common(s): Social movements, Ideas, Initiatives from Commons
charters to Communal Kitchens to an Apo-capitalist City-zens´ Rescue Plan

6:00 doors

6:30 - 8:00 Part 1: Intro to the context of today's commons inquiry w/
discussion on The Great lakes Commons Initiative (Bradley) & Madrid City
Commons Charter (Lopez).

8:00 - 9:30 Part 2: Dinner - Revolutionary Love & continuing the inquiry:
Reclaiming a common(s) in the city / building meshworks of mutual aid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3. Commoning in New York

Before the end of last year, we organized an event attempting to consider
how the self-organized relief effort post-sandy and the occupation of wall
street made evident not only a social/political desire to resist the
violence of capitalism, but also to common our knowledge, and our
different abilities to produce qualitatively different social relations,
spaces, and lives.

Thus, we would also like to open up this discussion of commons charters to
consider different commoning initiatives in New York and beyond which
could be inter-linked into a durable and palpable relief effort or rescue
plan - not post-hurricane, but post-capitalist realism - that is, after
abandoning one's conscious or unconscious commitments to a reality that is
constructed upon the most insidious notions of "human nature", value,
freedom, democracy, productivity, extraction, debt, .... .

We hope this discussion can not only continue this reflection but also
bring together existing proposals or initiatives.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4. A Note on Food

For those who would like to contribute to dinner in some way, you can
prepare something to bring and share, or alternatively bring bread,
cheese, olives, nuts or vegetables that can be eaten raw, or bring
something to drink. Avoiding packaged/processed foods will be appreciated.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5. A Note on Love

Fortuitously, this gathering is taking place on St. Valentine's day, a day
which had at a particular historical juncture associated itself with love.
Rather than ignore this association in the hope of distancing from
religious or commercialized overcoding, we thought it interesting to
invoke the notion of love, or even revolutionary love as a reference point
for the evening.

In late 2000 and early 2001, we organized a series of readings and
discussions around different notions of community and questions of love
entered those discussions. Among the many readings at the time, we read
some chapters from a book that had just been published by bell hooks on
love. In introducing the book, 'all about love: new visions', she attempts
to focus on an idea of love that would be associated with action rather
than a thing or object, a verb rather than noun. She then proceeds to
outline the many dimensions and spheres that one could cultivate a
relation to love. Some years later, we discussed with Michael Hardt the
possibility of organizing a molecular seminar together and he suggested
organizing around the notion of love. This gathering never manifested in
the space, but the questions about a political notion or relation to love
remains intertwined with questions which continue to be at play in our
struggles, questions of community, commons, commoning, communisation,
mutual aid, .... They are also questions which implicate relations to
desire and how desire is social and socialized, channeled, and today
increasingly colonized. 

We outline these considerations, because they are intrinsic to our
experiences of the last several years of political tumult and upheaval and
they point to the shortcomings of excluding affective dimensions animating
our struggles, making them sustainable, and also always vulnerable. This
evening's discussion may not be about these particular questions, but
these questions will be there in the background and hopefully trace out
one trajectory of a common inquiry which may be to come.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6. Further Readings and Related Articles

Carta de los Comunes (in Spanish; Madrid) 
(free download - a donation is recommended - at the bottom of the page) 
http://traficantes.net/index.php/editorial/catalogo/otras/La-Carta-de-los-Comunes.-Para-el-cuidado-y-disfrute-de-lo-que-de-todos-es

The Great Lakes Are Declared a Commons (Onthecommons.org)
A diverse group of activists from both sides of the border declares the
lakes a common endowment 
http://onthecommons.org/great-lakes-are-declared-commons

The Spanish Model
by Isidro López & Emmanuel Rodríguez
http://newleftreview.org/II/69/isidro-lopez-emmanuel-rodriguez-the-spanish-model

Crises, Movements and the Commons. 
by Massimo De Angelis. 
http://www.borderlands.net.au/vol11no2_2012/deangelis_crises.htm

A Tale of Two Conferences: Globalization, the crisis of neoliberalism and
question of the commons 
by George Caffentzis
http://www.borderlands.net.au/vol11no2_2012/caffentzis_globalization.htm

Two Charters, Chapter 2 from “The Magna Carta Manifesto”
by Peter Linebaugh
http://sduk.us/silvia_george_david/linebaugh_two_charters.pdf

Defending, Reclaiming and Reinventing the Commons
by Maria Mies & Veronika Benholdt-Thomsen
http://sduk.us/silvia_george_david/mies_benholdt_defending_reinventing.pdf

On the Commons: A Public Interview with Massimo De Angelis and Stavros
Stavrides by Anarchitecture (two perspectives interweaving theories on the
commons, with practical examples, propositions, and analysis.) 
http://www.e-flux.com/journal/on-the-commons-a-public-interview-with-massimo-de-angelis-and-stavros-stavrides/

For Former Conversations and additional resources please see 
Beyond Good and Evil Commons
A seminar with Silvia Federici, George Caffentzis, & David Graeber
http://www.16beavergroup.org/silvia_george_david/
&
http://www.makingworlds.org/



:

[펌] 애니메이션『프랙탈』로 보는 ‘기본소득(베이직 인컴)’① -- 선정우

뚝딱뚝딱 2012. 9. 3. 21:56


출처 : http://koreancontent.kr/770




애니메이션의 인문학적, SF적 배경 설정 (1)
:애니메이션 『프랙탈』로 보는 ‘기본소득(베이직 인컴)’①

선 정 우 (출판기획사 코믹팝 대표, mirugi.com 운영)


■ 애니메이션의 현실 반영
창작 작품은 사회를 반영하기도 하고 사회가 작품 세계를 뒤따라가기도 한다는 사례는 많이 존재한다. 물론 애니메이션의 경우에도 사회상의 변화가 반영되는데, 그 중에서도 학문적인 분야의 최신 학설이나 이론, 새로운 과학적 연구 결과나 고고학적 발견이 작품에 반영되는 사례를 최근의 일본 애니메이션에서 찾아보고자 한다. 90년대 이후 국내와 일본에서 최근의 애니메이션 작품이 과거와 다르게 애니메이션 마니아의 취향과 욕망에만 매몰되었다는 지적이 끊임없이 나오고 있다. 또 반대로 그런 지적에 대해 추억에만 묻혀 현재 작품을 제대로 보지 못하는 구세대의 잔소리라는 비판 역시 존재한다. 필자가 생각하기에는 과거에도 취향과 욕망에 충실했던 작품은 존재했고 현재에도 사회를 반영한 작품은 존재하고 있다. 한국 국내에서는 애니메이션 제작 편수가 일본에 비해 절대적으로 적다 보니 일본 애니메이션만큼 다양성이 보기 힘들었으나, 최근에는 『와라! 편의점』과 같은 어느 시간대에나 방영하기 쉬운 에피소드 중심형 TV애니메이션부터 『마당을 나온 암탉』과 같은 가족영화, 『돼지의 왕』이나 『은실이』와 같은 작가주의형 현실 비판 영화 등이 등장하며 보다 다양하게 현실이 반영된 작품들을 볼 수 있다.

 

국내 애니메이션이 주로 현실 반영의 방법으로 그 시대의 사회상을 그려내는 것에 반해, 작품수가 훨씬 많은 일본에서는 보다 다양한 방식이 시도되고 있다. 앞서 언급했듯이 최신 학설이나 이론의 도입이나, 새로운 과학적 연구 결과나 고고학적 발견을 바탕으로 한 작품의 제작이 그것이다. 지금부터 몇몇 일본 애니메이션의 사례를 통해 어떤 식으로 이런 시도가 이루어졌는지 알아보기로 하자.

 

- 왼쪽부터 『와라! 편의점』(2009년부터 방영/조준영 감독), 『마당을 나온 암탉』(2011년 개봉/오성윤 감독), 『돼지의 왕』(2011년 개봉/연상호 감독), 『은실이』(2012년 개봉/김선아, 박세희 감독) 포스터.


■ 애니메이션 『프랙탈』에 도입된 ‘기본소득’ 개념
실제 작품을 예로 들면서 설명하겠다. ‘기본소득(basic income)’이란 개념이 있다. 국가, 혹은 사회가 모든 구성원에게 기초 소득을 제공한다는, 요즘 한국에서라면 ‘궁극의 포퓰리즘’ 쯤으로 불릴 것 같은 정책이다. 어떻게 보면 사회주의나 공산주의처럼도 보이기 때문에 더더욱 한국에서는 널리 받아들여지긴 요원할 것 같은 개념이기도 하다. 하지만 일본에서는 근래 여러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2009년을 전후해서 몇몇 정당에 공약으로 채택되기도 했다. 그런 개념을 2011년 일본에서 방영된 TV애니메이션 『프랙탈』에서는 적극적으로 배경 설정에 도입했던 것이다.

 

우선 ‘기본소득’을 간단히 설명하자면, 재산이나 노동 여부와 무관하게 사회 구성원 모두에게 균등하게 지급되는 소득을 말한다.

기존의 사회보장제도는 생계 곤란이라든지 무언가의 조건을 내걸고 그에 해당하는 사람들에게만 지급된다는 점에서 기본소득과 다르다. 종래의 사회보장제도는 그 시민이 복지 혜택을 받을 만한 정당한 자격이 되는지 심사하는 과정이 필요하므로 그 심사를 위한 행정 기구가 필요하지만, 기본소득의 경우에는 거의 무조건적으로 1인당 일정액을 지급하기만 하면 되므로 관료 조직의 간소화가 가능해진다는 것이다. 또한 이 기본소득을 저축이나 투자에 사용할 수 없고 오직 기초생활에만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빈부의 격차와 무관하게 빈자에게든 부자에게든 무조건적으로 지급하는 이 ‘기본소득’ 개념의 일견 불합리해 보이는 점을 해결하고자 하고 있다.

 

본래 기본소득 개념은 16세기부터 그 구상이 나왔고 18세기 말 영국의 사회사상가 토마스 페인이 주장했다고 한다. 본격적인 논의는 1970년대 유럽에서 시작됐고, 벨기에의 철학자 필립 판 파레이스가 1995년 제창하면서 단순한 공상 수준이 아닌 정치적인 문제로 제기되었다. 국내에서는 주로 좌파 계열 정당에서 이 기본소득에 관한 논의가 시작되고 있는데, 사실 기본소득 논의가 2000년대 접어들면서 세계적으로 제기된 배경에는 ‘신자유주의’의 영향도 존재한다. 신자유주의자의 기본소득 연계의 의도는, 기본소득 제도를 도입하는 대신 생활보호, 최저임금제도, 사회보장제도 등과 같은 복지 정책을 전면 폐지하겠다는 것이다.

 

하지만 통상적으로는 국민에게 최저한도의 생활을 보장한다는 것이 기본소득의 목적이다. 이미 한국을 비롯하여 세계 많은 나라에서 국민연금, 건강보험, 실업보험, 의료보장제도, 의무교육제도, 육아수당 등 각종 생활보장제도가 시행되고 있는데, 기본소득은 이처럼 개별 보증을 넘어 포괄적이고 전면적인 방향으로 국민의 최저생활을 보장하겠다는 제도인 것이다. 사실 모든 생활보장제도에는 한계가 있는데, 예를 들어 불평등성이 그 중 하나다. 이미 현행 소득세의 경우에도 상대적인 저소득층은 환급을 통해 일정액을 돌려주기도 하고 고소득층의 경우에는 높은 세율을 통해 많은 세금을 거두기도 하는 등 기본소득 개념과 별로 크게 충돌하지 않는 방향이 도입되어 있다. 다만 기본소득을 주장하는 일본 경제학자 나카타니 이와오는 “가난한 사람들은 세무서에 들러 세금 환급에 필요한 각종 서류를 준비해 제출할 여유도 없고 그런 재테크 정보를 접하기 어렵다”고 말한다. 똑같이 세금을 내도, 세금 제도를 잘 아는 어떤 이는 환급을 받고 어떤 이는 환급을 받지 못하는 모순. 또 고소득층의 경우에는 본인이 세금 제도를 잘 모르더라도 높은 소득으로 인해 개인적인 세무 업무를 세무사라든지 외부에 전담시켜 쉽게 환급을 받고 저소득층의 경우에는 오히려 그렇지 못하게 되는 불평등성. 이런 부분을 해소하자는 것 역시 기본소득의 목적 중 하나이다.


■ 애니메이션 『프랙탈』
『프랙탈』 애니메이션은, 22세기에 확립된 세계 관리 네트워크인 ‘프랙탈 시스템’이 인체에 심어진 일종의 나노머신을 통해 라이프로그를 수집하고 기본소득을 제공한다는 설정을 바탕으로 이야기가 전개된다. 그로부터 1000년이 지나, 사람들은 낙원과 같은 생활을 얻게 되어 유유자적하게 살아가는 개인주의 사회가 일반화된 시점을 배경으로 한다. 사람들은 ‘도펠’이라 불리는 일종의 아바타를 통해서만 타인과 접촉할 뿐, 직접적으로 실제 인체를 통한 커뮤니케이션은 부모 자식 간에도 좀처럼 하지 않게 된다. 그러나 너무 오랜 기간이 지나 에러가 쌓인 ‘프랙탈 시스템’은 붕괴의 위기를 겪게 되면서 일어나는 모험담이 작품의 주된 줄거리를 구성하고 있다.

 

『프랙탈』의 세계에서는 사람들이 나노머신을 통해 라이프로그를 정기적으로 프랙탈 시스템에 제공하면서 기본소득을 얻고 있는데, 이 기본소득은 저축이나 투자 등에 사용할 수는 없고 오직 기초 생활에만 쓸 수 있다. 그 기본소득을 바탕으로 유유자적하게 살아가는 사람들만이 아니라, 종래의 자본주의에서와 같은 고전적 시장 경제 시스템을 위해 별도의 통화도 존재하고 있다. 『프랙탈』 작중에서는 프랙탈 시스템의 노후화로 인해 제대로 작동되지 못하여 기본소득을 받지 못한 일종의 난민들이라든지, ‘로스트 밀레니엄 운동’이라 하여 프랙탈 시스템 탓에 인류가 타락했다며 기본소득을 거부하고 프랙탈로부터의 해방을 목표로 하는 조직도 존재한다. 로스트 밀레니엄 운동의 조직은 땅을 경작하고 가축을 기르는 등 과거와 같은 ‘노동’을 하자는 조직도 있고, 무장 투쟁을 통해 프랙탈 시스템을 파괴하려는 과격파 테러 집단도 등장한다.

 

애니메이션 『프랙탈』은 작품 외적인 문제 등으로 인하여 그리 큰 인기를 끌지 못했는데, 국내와 일본의 일부 시청자 중에는 간혹 『프랙탈』이란 작품의 실패 원인을 원안 담당인 평론가 겸 소설가 아즈마 히로키(주)에게 돌리는 경우가 있다. 하지만 『프랙탈』 스태프 리스트에 ‘원안’으로 표기된 아즈마 히로키가 맡은 것은 이런 프랙탈 시스템이나 세계관의 설정 부분일 것으로 추정된다. 만약 아즈마 히로키가 『프랙탈』의 스토리나 캐릭터 부분의 중심적인 내용을 전부 다 맡았다면, 그런 경우에는 일본 애니메이션의 스태프 표기 방법에서 보통 ‘원작’으로 나오게 된다. ‘원안’은 그 작품의 중요한 아이디어를 제공했다는 정도를 말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전체적인 내용은 감독 등과 같은 연출자나 ‘시리즈구성’으로 표기되는 각본 팀의 메인 스토리 작성자가 담당하게 된다. 『프랙탈』에서는 감독인 야마모토 유타카가 작품 전체의 방향성을 결정했을 것이고, 개별적인 스토리는 시리즈구성을 맡은 일본의 인기 각본가 오카다 마리가 담당했으리라 생각된다. 실제로 아즈마 히로키는 트위터 등을 통해 2011년 당시부터 본인이 『프랙탈』 애니메이션에 제한적인 참여밖에 하지 못했음을 여러 번 밝힌 바 있다. 그렇다면 역시 『프랙탈』 애니메이션판은 아즈마 히로키의 미래 세계에 대한 설정을 많이 도입했음에도 불구하고, 스토리나 캐릭터에 있어서는 각본가(‘시리즈구성’이란 직함)와 연출가가 중심적으로 진행했다고 보는 것이 합리적인 해석일 것이다.

 

(주) 아즈마 히로키:일본의 비평가이자 소설가. 현재 도쿄공업대학 세계문명센터 인문학원 디렉터 겸 특임교수이자 와세다대학 문학학술원 교수를 맡고 있다. 1993년 「솔제니친 시론」이란 논문으로 평론가 데뷔한 이후 1998년 출간한 저서 『존재론적, 우편적─자크 데리다에 대해』로 산토리학예상 수상. 그 후 『동물화 하는 포스트모던』(2001년/한국어판 2007년), 『게임적 리얼리즘의 탄생』(2007년/한국어판 2012년), 『일반의지 2.0─루소, 프로이트, 구글』(2011년/한국어판 2012년) 등으로 비평가로서의 위치를 확립했다. 또한 2007년부터는 소설가로서도 활동을 시작하여 2009년 출간한 첫 번째 단독 저서인 SF 『퀀텀 패밀리즈』가 이듬해 미시마 유키오상을 수상하여 작가로서도 성공적으로 첫 발을 내딛었다.

 

 

- 평론가 겸 소설가 아즈마 히로키의 저서 『게임적 리얼리즘의 탄생』 일본어판과 한국어판, 그리고 『일반의지 2.0』과 아즈마 히로키가 기획·편집을 담당한 무크지 『미소녀게임의 임계점』.




:

구럼비 만나러 갈 준비 완료

뚝딱뚝딱 2012. 3. 30. 22:26


[워밍업]

<구럼비야 사랑해> 까페에서 퍼온 안내문. 강정마을의 모든 것.

강정에 오실 분들 꼭 읽고 오시면 마음이 편합니다. (필수조건 강정마을 안내문) 

http://cafe.daum.net/peacekj/49kU/1537

강정안내문.hwp



[나의 일정]

IN ::: 04/03 17:40  김포 => 제주


- 제주공항 도착하자마자 <클럽 블루힐>로~ 

http://cafe.daum.net/clubbluehill/QRpW/1 

- 공연 다 보고 근처 찜질방으로~


- 아침 일찍(!) 일어나서 강정마을로~

제주시청 근처 ~ 제주공항 (5번 게이트 600번) ~ 강정마을

혹시나 차단되어서 하차 안 할 경우, 월드컵경기장에서 하차.

이마트 앞에서 택시타고 강정마을 (또는 풍림콘도) 가달라고.


* 공항 리무진 버스 (600번)

(운행시간: 06:20∼21:50, 15분간격)

삼영교통 064-747-7653(제주), 064-762-9369(서귀포)

요금 : 3,000원 ~ 5,000원


- 21시쯤 버스 타고 제주시청/도청 근처로~

- 찜질방에 있다가 비행기 탑승!


OUT ::: 04/05 08:20  제주 => 김포



[지도 & 교통편]


제주공항 ~ 강정마을


제주공항 ~ 클럽 블루힐


제주도청 근처 찜질방


제주시청 근처 찜질방


제주시청 ~ 제주공항





:

[웹자보] 2012 기본소득 국제학술대회 "금융자본주의를 점령하라" 3/16~18, 정동 경향신문

뚝딱뚝딱 2012. 3. 15. 17:59


Day 1. 2부. <청년의 무기, 기본소득과 점령운동>에 토론으로 참여함.
근데 본분을 망각한 발표문 같은 토론문을 써버렸음. 웁스 ㅡ.ㅡ






:

불어로 배우는 한진重 정리해고 철회투쟁 via @bot_fr

뚝딱뚝딱 2011. 6. 30. 05:36


불어사람되기(@bot_fr)의 6월 28일자 한진重 관련 트윗 모음



travailleur 근로자 => 노동자로 바꿈.
민주노동조합총연맹에 démocratique 삽입.
* 이외에는 모두 그대로 펌 
 




Intervention de la police ? ça va pas la tête ? (공권력을 투입한다고? 미친거 아니야?)

[avoir un noeud dans la gorge] 목구멍에 매듭이 있다 → 목이 메이다. ex) J'ai senti mon cœur se serrer et j'avais un nœud dans la gorge. 가슴이 뭉클하고 목이 메어왔어요.

Ne leur touche pas un cil ! (그들 털 끝 하나 건드리지마!!)

Ce n'est pas une vie. 이건 삶이 아닙니다. (=못해 먹겠네!)



 [한진파업] 르몽드에 실린 기사 전문입니다. Voilà l'article publié dans Le Monde. 

오늘 불어봇은, 르몽드지(Le Monde)에 실렸던 한진중공업 사태 기사를 바탕으로 합니다. 작은 어휘 몇 개만 익히면, 여러분도 불어사람들에게 이 일을 알릴 수 있습니다.  

해고되다 = être licencié(e) / renvoyé(e) :돌려보내진 / mis à la porte :쫒겨난 // Elle est renvoyée pour son militantisme syndical. 그녀는 노조활동으로 해고되었다.

크레인= une grue // six mois au sommet d'une grue 크레인 꼭대기에서의 여섯달 // Elle occupe la cabine de la grue numéro 85. 그녀는 85호 크레인 조종실을 점거하고 있다.

재벌 = le chaebol (= le coglomérat 종합회사, 그룹) // Dans les chaebol, le dialogue social est souvent négligé. 재벌그룹에선, 사회적 대화가 종종 등한시된다.

조선소 = un chantier naval // un chantier naval du "géant" Hanjin Heavy Industries and Construction (HHIC). "거대한" 한진중공업의 조선소

높은 곳에 위치한 = perché(e) // Elle est perchée à 35 mètres de hauteur. 그녀는 35미터 높이에 있다.

~가 ..할 것을 촉구하다, 호소하다 = appeler qun/qch à inf. // Elle appelle l'entreprise à revenir sur le licenciement. 그녀는 회사가 해고를 취소할 것을 촉구한다.

revenir sur qqch = (약속 견해 따위를) 취소하다, 변경하다 // Veuillez revenir sur le licenciement de dizaines d'employés. 수십여명 직원들의 해고를 철회해 주십시오.

인건비 = le coût de la main-d'oeuvre // dans le cadre d'un plan de réduction du coût de la main-d'oeuvre. 인건비 절감의 일환으로

침범, 침해 = la violation // Un jugement la condamne, pour violation de propriété privée, à une amende. 판결은 사유지 침해를 이유로 그녀에게 벌금형을 선고했다.

노동자 = travailleur // Le problème des travailleurs de Hanjin n'est pas simplement le problème des autres. 한진 노동자들의 문제는 단순하게 남의 문제가 아니다.

해고 = le licenciement // Bus de l'espoir pour un monde sans licenciements ni travail précaire. 해고와 불안정한 노동이 없는 세상을 위한 희망버스

진압하다 = réprimer // Un rassemblement est vite réprimé par la police et des groupes d'hommes en noir. 모임은 경찰과 검은 복장의 남자들 집단에 의해 빠르게 진압되었다.

시위자 = manifestant // Les 700 manifestants sont venus de tout le pays à bord d'un «bus de l'espoir». "희망버스"에 탑승하기 위해 전국에서 온 700명 시위참가자들.

체포하다 = arrêter // Plusieurs personnes ont été arrêtées, dont Kim Yeo-Jin. 많은 사람들이 체포되었고, 김여진도 포함되어 있었다.

지지 = le soutien // Sur Twitter, les soutiens à l'action de Kim Jin-Suk affluent. 트위터에서, 김진숙의 활동에 대한 지지가 (물결치듯) 몰려들었다.

주요 언론들 = les grands médias // Les grands médias se focalisent sur les incidents et les violents. 주요 언론들은 사건과 폭력성에 초첨을 맞추고 있다.

일간지 = le quotidien // Le quotidein conservateur Chosun Ilbo 보수 일간지 조선일보, le quotidien centre gauche Hankyoreh 중도 좌파 일간지 한겨레

은폐하다 = occulter // Son action occultée par les grands medias commence à susciter de la sympathie. 주요 언론으로부터 감춰졌던 그녀의 행동은 공감을 불러일으키기 시작했다.

무시되다 = négliger / 분쟁, 충돌 = conflit // Le dialogue social est négligé et tourne au conflit violent. 사회적 대화는 무시되고 폭력적인 분쟁으로 변했다.

구조조정 = la restruction // La KEF dénonce un mouvement «illégal contre un plan de restruction légal». 경총은 "합법적 구조조정에 대한 불법 운동"이라고 규탄했다.

전국(한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 Confédération démocratique des syndicats coréens // (한국)경영자총협회 = La Fédération des employeurs coréens

공권력 개입 = l'intervention de la police // KEF demande l'intervention de la police. 경총은 공권력의 개입을 요청했다.

~에 대해 항의하다 = protester contre(de) qqch // Un syndicaliste proteste contre une vague de licenciements. 한 노조위원은 대량 해고에 대해 항의했다

협상 = la négociation, 일어나다 개최되다 = avoir lieu // Des négociations avaient pu avoir lieu. 협상이 개최될 수 있었다.

직장(공장)폐쇄, 로크아웃 = lock-out // L'entreprise a lock-outé les travailleurs sans informer le syndicat. 사측은 노조에 통보하지 않고 근로자들에게 공장폐쇄를 가했다

노조 = le syndicat, 경영진 = la direction // La direction ignore les revendications du syndicat. 경영진은 노조의 요구를 무시한다.

연대 = la solidarité // Solidarité avec eux ! 그들과 함께 단결합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