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에 해당되는 글 72건
- 2014.07.05 7월 8~9일 신자유주의 시대의 권력과 저항 (사토 요시유키와의 만남)
- 2013.11.04 [알림] 다큐멘터리<맑스 재장전> 상영 및 감독과의 대화
- 2013.11.04 [알림] "소득" 컨퍼런스 (최저임금 1만원위원회 x 기본소득네트워크)
- 2013.06.07 [영상] Vio.Me : 테쌀로니키에서의 자주관리 (via globaluprisings)
- 2013.02.20 Commons Charters: From The Great Lakes to Madrid, with imaginings for New York
- 2013.02.13 점거된 그리스 공장이 노동자 자주관리 하에 생산을 시작한다
- 2013.01.07 2012년 12월 30일 EZLN 성명서 --- <참세상>
- 2012.10.17 [펌] 긴축반대 지구적 냄비 시위 활활... “우리는 빚지지 않았다” --- 참세상
- 2012.09.24 [펌] 강정마을 사람들과 자연의 끈질긴 도전 ① 고공 40m, 목숨을 위협받는 평화 유배자들과의 옥중 인터뷰
- 2012.09.10 [강정소식] 세계자연보전총회 기간 중 강정지킴이 2명 구속 3
[영상] Vio.Me : 테쌀로니키에서의 자주관리 (via globaluprisings)
NUDA POTENZA 2013. 6. 7. 03:34Vio.Me : 테쌀로니키에서의 자주관리
via globaluprisings
그리스 테쌀로니키에 있는 <Vio.Me.> 공장 노동자들은 자주관리의 국제적 상징으로 빠르게 성장했다. 그들은 2013년 2월 12일 파업 및 공장점거에 돌입한 이후, 공장을 다시 열고 노동자 자주관리 하에서 생산을 시작했다. 많은 이들에게, 이 공장은 그리스의 실업노동자들에게 새로운 가능한 길 - 생산수단을 장악하는 것, 고용주 없이 공장을 운영하는 것, 필요한 물건만 생산하는 것, 그 물건들을 연대 네트워크를 통해 유통시키는 것 - 을 열어주는 것이다.
"우리가 내는 모든 추가 이윤은 그것을 필요로 하는 사람들에게 나누어질 겁니다. 우리의 계획은 실업노동자들이나 지원이 필요한 사람들을 도움을 제공하는 것입니다."
- Dimitrios Koumasiouras, <Vio.me> 노동자
이 영상은 노동자들이 어떻게 자주관리 하에서 공장을 다시 열었는지에 대한 이야기를 들려주며 이 공장이 현재 어디를 향해 나아가고 있는지를 보여준다.
+ <점거된 그리스 공장이 노동자 자주관리 하에 생산을 시작한다> http://imirreducible.tistory.com/156
Commons Charters: From The Great Lakes to Madrid, with imaginings for New York
뚝딱뚝딱 2013. 2. 20. 23:176. Further Readings and Related Articles 요체크. 언제 다 볼 수 있을지 모르겠으나 ㅠ 일단 킵.
[seizing_building_commoning] NYC Fwd: Thursday -- 02.14.13 -- Commons Charters: From The Great Lakes to Madrid, with imaginings for New York
---------- Forwarded message ----------
From: Sixteen Beaver
Date: Thursday, February 14, 2013
Subject: Thursday -- 02.14.13 -- Commons Charters: From The Great Lakes to Madrid, with imaginings for New York
To: generale@16beavergroup.org
Thursday -- 02.14.13 -- Commons Charters: From The Great Lakes to Madrid,
with imaginings for New York
Contents:
1. About this Thursday
2. Evening Outline
3. Commoning in New York
4. A Note on Food
5. A Note on Love
6. Further Readings and Related Articles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1. About this Thursday
What: Discussion
When: Thursday February 14th 6:00pm
Where: 16 Beaver Street, 4th Floor
Who: Free and open to all
We would like to invite everyone to a discussion and evening organized
with our friends from Making Worlds.
The event builds upon existing discussions that we have each organized
over the last few years around the common(s) and more recent discussions
in which we have tried to imagine collectively different modes of pairing
struggle and antagonism to capitalism with formal/informal processes of
mutual aid, collective care and cultivation of the common(s).
The questions are basic ones concerning the processes of destruction or
privatization of the basic premises of life (food, water, air, genes,
seeds, ideas, language, learning, land, ...) and include the material
needs of being able to collectively reproduce our lives in struggle. They
also revolve around the capacity of this change in climate (both
ecologically and socio-politically) we are living through to posit or
propose alternatives to state (public?) or corporate (private?) control of
life.
The evening will unfold in two parts.
The first part of the evening is a conversation with Isidro Lopez and
Alexa Bradley who are currently participating in the development of
commons charters. Isidro Lopez will discuss his involvement with
Observatorio Metropolitano and the “Carta de los Comunes”, a Commons
Charter for the city of Madrid [Spain] elaborated collectively in 2011.
Alexa Bradley will be discussing her current work with the Great Lakes
Commons Initiative, a broad organizing effort to catalyze a cross border
citizen movement to put human need, ecological survival and democratized
decision making at the center of the Great Lakes governance.
More generally, commons charters are documents created by communities
seeking to take back control and care of their livelihoods and
environments. Among examples, we discover The Magna Carta’s often
overlooked Charter of the Forest written in 1066 by the commoners of
England demanding their right to use the land for their common needs:
grazing, wood for cooking, peat for fuel, and fishing rights to name a
few. In recent years, different initiatives throughout the world have
recovered these kinds of documents, as is the case of the Carta de los
Comunes (Madrid, Spain), and the Great Lakes Initiative (US-Canada).
After this first part, we will take a break for some food (see below for
more information).
The second part of the evening, we will try to resume the discussion
focusing on some initiatives or efforts that could potentially address
these concerns in New York, Madrid and beyond (see note on commoning below
for more information).
We will also be joined by Silvia Federici and George Caffentzis and other
friends with whom we began a more public exploration of some common
concerns with 'Beyond Good and Evil Commons: Debt, Economic Crisis and the
Production of Commons' in the summer of 2011.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2. Evening Outline
Commons Charters: From The Great Lakes to Madrid, with imaginings for New
York
and
Reclaiming a Common(s): Social movements, Ideas, Initiatives from Commons
charters to Communal Kitchens to an Apo-capitalist City-zens´ Rescue Plan
6:00 doors
6:30 - 8:00 Part 1: Intro to the context of today's commons inquiry w/
discussion on The Great lakes Commons Initiative (Bradley) & Madrid City
Commons Charter (Lopez).
8:00 - 9:30 Part 2: Dinner - Revolutionary Love & continuing the inquiry:
Reclaiming a common(s) in the city / building meshworks of mutual aid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3. Commoning in New York
Before the end of last year, we organized an event attempting to consider
how the self-organized relief effort post-sandy and the occupation of wall
street made evident not only a social/political desire to resist the
violence of capitalism, but also to common our knowledge, and our
different abilities to produce qualitatively different social relations,
spaces, and lives.
Thus, we would also like to open up this discussion of commons charters to
consider different commoning initiatives in New York and beyond which
could be inter-linked into a durable and palpable relief effort or rescue
plan - not post-hurricane, but post-capitalist realism - that is, after
abandoning one's conscious or unconscious commitments to a reality that is
constructed upon the most insidious notions of "human nature", value,
freedom, democracy, productivity, extraction, debt, .... .
We hope this discussion can not only continue this reflection but also
bring together existing proposals or initiatives.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4. A Note on Food
For those who would like to contribute to dinner in some way, you can
prepare something to bring and share, or alternatively bring bread,
cheese, olives, nuts or vegetables that can be eaten raw, or bring
something to drink. Avoiding packaged/processed foods will be appreciated.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5. A Note on Love
Fortuitously, this gathering is taking place on St. Valentine's day, a day
which had at a particular historical juncture associated itself with love.
Rather than ignore this association in the hope of distancing from
religious or commercialized overcoding, we thought it interesting to
invoke the notion of love, or even revolutionary love as a reference point
for the evening.
In late 2000 and early 2001, we organized a series of readings and
discussions around different notions of community and questions of love
entered those discussions. Among the many readings at the time, we read
some chapters from a book that had just been published by bell hooks on
love. In introducing the book, 'all about love: new visions', she attempts
to focus on an idea of love that would be associated with action rather
than a thing or object, a verb rather than noun. She then proceeds to
outline the many dimensions and spheres that one could cultivate a
relation to love. Some years later, we discussed with Michael Hardt the
possibility of organizing a molecular seminar together and he suggested
organizing around the notion of love. This gathering never manifested in
the space, but the questions about a political notion or relation to love
remains intertwined with questions which continue to be at play in our
struggles, questions of community, commons, commoning, communisation,
mutual aid, .... They are also questions which implicate relations to
desire and how desire is social and socialized, channeled, and today
increasingly colonized.
We outline these considerations, because they are intrinsic to our
experiences of the last several years of political tumult and upheaval and
they point to the shortcomings of excluding affective dimensions animating
our struggles, making them sustainable, and also always vulnerable. This
evening's discussion may not be about these particular questions, but
these questions will be there in the background and hopefully trace out
one trajectory of a common inquiry which may be to come.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6. Further Readings and Related Articles
Carta de los Comunes (in Spanish; Madrid)
(free download - a donation is recommended - at the bottom of the page)
http://traficantes.net/index.
The Great Lakes Are Declared a Commons (Onthecommons.org)
A diverse group of activists from both sides of the border declares the
lakes a common endowment
http://onthecommons.org/great-
The Spanish Model
by Isidro López & Emmanuel Rodríguez
http://newleftreview.org/II/
Crises, Movements and the Commons.
by Massimo De Angelis.
http://www.borderlands.net.au/
A Tale of Two Conferences: Globalization, the crisis of neoliberalism and
question of the commons
by George Caffentzis
http://www.borderlands.net.au/
Two Charters, Chapter 2 from “The Magna Carta Manifesto”
by Peter Linebaugh
http://sduk.us/silvia_george_
Defending, Reclaiming and Reinventing the Commons
by Maria Mies & Veronika Benholdt-Thomsen
http://sduk.us/silvia_george_
On the Commons: A Public Interview with Massimo De Angelis and Stavros
Stavrides by Anarchitecture (two perspectives interweaving theories on the
commons, with practical examples, propositions, and analysis.)
http://www.e-flux.com/journal/
For Former Conversations and additional resources please see
Beyond Good and Evil Commons
A seminar with Silvia Federici, George Caffentzis, & David Graeber
http://www.16beavergroup.org/
&
http://www.makingworlds.org/
점거된 그리스 공장이 노동자 자주관리 하에 생산을 시작한다
NUDA POTENZA 2013. 2. 13. 05:06점거된 그리스 공장이 노동자 자주관리 하에 생산을 시작한다
점거하라, 저항하라, 생산하라!
“우리는 이것이 노동자 투쟁의 유일한 미래라고 생각합니다.”
마키스 아나그노스토우(Makis Anagnostou), <Vio.Me> 노동조합 대변인
2013년 2월 12일 화요일은 그리스 테쌀로니키의 <Viomichaniki Metalleutiki>(Vio.Me) 공장에서 노동자 자주관리 하에 생산을 시작하는 공식적인 첫째 날이다. 이는 고용주와 위계 없이 조직된 생산을 뜻한다. 고용주와 위계가 아닌, 노동자들의 직접적인 민주적 모임을 통해 계획된 생산이다. 노동자들의 모임은 불평등한 자원분배의 종식을 선언했으며, 앞으로 평등하고 공정한 집단적으로 결정된 급료를 얻게 될 것이다. 이 공장은 건축자재를 생산하는데, 노동자들은 환경에 해롭지 않은 상품들을 유해하거나 파괴적이지 않은 방식으로 생산해나갈 계획이라고 선언했다.
“실업률이 30%까지 치솟고, 허황된 말들과 약속들과 더 많은 세금에 진절머리가 난, 2011년 5월 이후 임금을 받지 못하고 있는 <Vio.Me> 노동자들이, 노조 총회의 결정에 따라 영구적인 실업상태에 빠지는 대신 공장을 손에 넣어 스스로 운영하기로 결정했음을 선언한다. 이제 노동자들이 <Vio.Me>를 장악할 시간이다!” (<Vio.Me> 노동자들과 함께 쓴 <Open Solidarity Initiative>의 성명서, 전문은 http://Viome.org)
<Vio.Me> 노동자들은 2011년 5월에 임금이 끊겼고, 이후 소유주와 경영진은 공장을 버리고 떠났다. 일련의 모임들이 있은 후 노동자들은 함께 공장을 운영하기로 결정했다. 그때부터 노동자들은 공장과 생산에 필요한 기계를 점거했고 수호했다. 그들은 엄청난 지지를 받으며 그리스 전역의 다른 노동자들 및 커뮤니티들과 계속 접촉했다. 이러한 단체들, 커뮤니티들, 개인들의 연대와 지지는 노동자들과 그 가족들이 지금껏 생계를 유지하는 데 큰 공헌을 했다.
이러한 노동자들의 회복과 관리를 위한 노동자 점거 경험은, 역사상으로나 현재로서나 새로운 일이 아니다. 2001년 이후로 아르헨티나에는 노동자들에 의해 민주적으로 운영되는 300여 개의 작업장이 있다. 그 작업장들은 진료소, 신문사, 학교에서부터 금속공장, 인쇄소, 호텔에 이른다. 이 경험은 노동자들이 [조건상] 자신의 작업장을 함께 운영하지 못하는 것일 뿐 [실제로는] 더 잘 운영할 수 있다는 사실을 보여주었다. 아르헨티나의 사례는 아메리카 대륙 전체에 퍼졌고 이제 유럽과 미국으로까지 퍼지고 있다. 시카고에서는 <New World Windows> 노동자들이 전 소유주 및 경영진과의 수년간의 투쟁 끝에 노동자 자주관리 하에 생산을 시작했다. 그리고 이제 그리스의 노동자들이, 실업에서 벗어나 전진하는 길―위기에 대한 거부―은 노동자들의 직접적인 민주적 자주관리임을 다시금 보여줄 것이다.
“우리는 모든 노동자들, 실업자들, 위기에 영향을 받는 모든 이들에게 <Vio.Me> 노동자들 옆에 서줄 것을, 그리고 노동자들이 고용주 없이 해낼 수 있다는 믿음을 실행에 옮기려는 이들의 노력을 지지해줄 것을 촉구한다! 관료 없이, 직접적인 민주적 절차를 통해, 투쟁에 참여하고 자신의 작업장 안에서 자신의 싸움을 조직하기.” (노조 웹싸이트 : http://biom-metal.blogspot.gr)
모든 공장 회복이 그렇듯 초기 자금조달이 핵심 문제이다. 연대가 <Vio.Me> 노동자들과 그 가족들의 생계를 유지시켜줄 수 있었지만, 생산을 계속하는 데 필요한 자본은 어마어마하다. 노동조합은 지속가능한 사업계획을 갖고 있지만, 그것을 시작하는 데는 시간이 걸릴 것이다. 처음 몇 달이 중요하다. 재정적인 도움은 상황을 완전히 바꿔놓을 수 있다. 어떤 기부라도 도움이 될 것이다.
직접적인 재정 지원은 국제 연대 웹싸이트(viome.org)를 통해 테쌀로니키의 <Vio.Me> 노동조합에 보낼 수 있다.
연대 성명이나 질문은 protbiometal@gmail.com으로 보낼 수 있다.
Thessaloniki Solidarity Initiative, Brendan Martin (Working World), Dario Azzellini, Marina Sitrin
서명함.
이 발의의 지지자들 :
David Harvey, Naomi Klein, Avi Lewis, John Holloway, Silvia Federici, George Caffentzis, David Graeber, Mag Wompel (labournet.de), The Cooperativa de Trabajo lavaca, Buenos Aires, Argentina
- 원문은 메일링리스트 [seizing_building_commoning]에서 구독한 Marina Sitrin의 메일 "Greek Factory Under Workers Control". (길다 길어~ :P)
- 2001년 아르헨티나의 경험은 콜렉티보 시투아시오네스의 <19 and 20 : Notes for a New Social Protagonism>과 <권력을 해체하는 카니발>(난장, 근간)에 자세히 나와 있다. (막간 근간 홍보 ㅋㅋ)
- 한진, 쌍차, 콜트콜텍 등이 오버랩되는 데다가 금융위기의 한복판에서 벌어지는 실험이라 앞으로 계속 주목해야할 듯.
2012년 12월 30일 EZLN 성명서 --- <참세상>
NUDA POTENZA 2013. 1. 7. 16:14번역했는데 한발 늦었다. ㅎ
San Cristobal, Chiapas. December 21, 2012
멕시코 사파티스타 민족해방군 활동 강화 예고
[성명] 멕시코, 세계 민중과 정부들, 형제 자매, 동지들에게
멕시코, 세계 민중과 정부들, 형제 자매와 동지들에게.
멕시코. 2012년 12월에서 2013년 1월.
* 이는 2006년 멕시코 북서쪽에 위치한 아텐코 지역 투쟁을 말한다. 당시 아텐코 지역 인근에는 텍스코코 시장이 있었다. 이 시장 부지에는 월마트 쇼핑몰이 들어설 예정이었다. 주 정부는 2006년 5월 3일 오전 7시 병력을 동원해 꽃 노점상 철거작업을 시작했다. 경찰은 항의하는 사람에게 폭력을 행사했다. 2006년 사파티스타는 당시 대선을 앞두고 전국을 순회하며 다른 대선을 제안하는 운동을 벌이던 도중 5월 아텐코 지역에서 이와 같은 탄압이 자행되자 함께 투쟁한다(주요 내용:http://www.newscham.net/news/view.php?board=news&id=39464).
[원문]http://www.elkilombo.org/communique-from-the-indigenous-revolutionary-clandestine-committee-general-command-of-the-zapatista-national-liberation-army-mexico-december-30-2012/
[원제]The Indigenous Revolutionary Clandestine Committee
[게재]2012년 12월 31일
[번역]정은희 기자
[펌] 긴축반대 지구적 냄비 시위 활활... “우리는 빚지지 않았다” --- 참세상
NUDA POTENZA 2012. 10. 17. 01:15긴축반대 지구적 냄비 시위 활활... “우리는 빚지지 않았다”
30개국 2백개 도시에서 냄비와 국자 시위.. “저항으로 잃을 건 빚 뿐”
13일 30개국 2백여 개의 도시에서 ‘#글로벌노이즈(#globalnoise, 지구적 소음)’을 위한 냄비시위가 일어났다. 스페인에서는 마드리드 등 37개, 프랑스에서는 21개, 미국에서는 18개 도시에서 사람들은 냄비, 솥, 국자, 후라이팬을 들고 나와 긴축을 반대하며 소동을 피웠다. 참가자는 적지만 모로코, 튀니지, 페루에서도 이날 세계적인 연대 운동에 함께 했다.
![]() |
▲ 10월 13일 #글로벌노이즈 냄비시위가 일어난 지역을 표시한다. [출처: #globalNOISE 페이스북 페이지] |
무엇보다 국제통화기금(IMF)과 세계은행(WB) 연차회의가 진행되는 일본 도쿄 냄비시위에 국제적 이목이 쏠렸다. 일본 시위대는 신자유주의를 강요하는 이 국제기관에 대한 항의행동을 중심으로 냄비시위를 진행했다.
![]() |
[출처: 일본 레이버넷] |
13일 일본 레이버넷에 따르면 시위대는 행진을 하며 “우리는 99%”, “IMF 나가라, 세계은행도 나가라”, “IMF는 비즈니스를 그만 두라, 재해 사업을 지금 그만 두라”, “피해 지역에서의 착취를 그만 두라” 등의 구호를 외쳤다.
![]() |
[출처: 일본 레이버넷] |
시위는 도쿄 전력 본점 앞을 지나며 고조됐으며 같은 날 도쿄에서 진행된 대규모 탈 원전 집회로 합류했다.
뉴욕 월스트리트 오큐파이도 빚 파업 그룹 등과 함께 냄비를 들고 거리로 나섰다. 로스앤젤레스에서는 약 4백 명이 헐리우드 가로수길을 행진했고 여기서 경찰과 충돌했다.
스페인 마드리드에서 사람들은 “불법적인 빚, 불법적인 정부”라는 스티커를 붙였다. 이들은 “지불해서는 안 된다”, “우리는 빚지지 않았고 지불하지도 않을 것이다”고 외쳤다. 사람들은 부분적으로 나체로 시위에 나섰고, 마드리드에서 행진은 인디그나도스 운동의 상징적 공간인 푸에르타 델 솔 광장을 가로질렀다. “공공은행, 진짜 경제”와 “민간은행, 투기”라는 푯말도 보였다.
저항으로 잃을 건 빚 뿐
![]() |
[출처: #globalNOISE 페이스북 페이지] |
포르투갈에서는 재정삭감에 반대한 콘서트 시위가 진행됐다. 리스본 광장에서 열린 이날 콘서트에서는 배우, 가수, 무용수가 출연해 긴축에 반대하는 예술가들의 목소리를 내며 다양한 공연을 선보였다.
유럽중앙은행이 위치한 독일 프랑크푸르트에서는 약 1천명이 냄비시위에 함께 했다. 이들은 지난 해 10월 15일 5천여 명이 참여한 국제공동행동을 기점으로 프랑크푸르트 오큐파이 프랑크푸르트를 조직하고 약 3백 일 간 유럽중앙은행 앞에서 점거시위를 벌인 바 있다.
21개 지역에서 냄비시위가 열린 프랑스에서는 공동 성명을 채택하고 긴축과 부채에 반대하는 새로운 저항을 제안했다.
![]() |
[출처: 어큐파이 프랑스 페이스북 페이지] |
이들은 성명에서 “세계 금융기관에 대해, 우리의 유일한 말은 우리는 당신한테 빚진 것 없다는 말이다. 우리의 삶을 가능하게 하는 우리의 친구, 가정, 사회, 인간과 자연, 세계에 대해 우리는 당신에게 빚진 게 많다고 말한다. 세계의 민중에게 우리는 저항에 참여하자고 그러면 당신은 빚 외에 잃을 게 하나도 없다고 말한다”고 밝혔다.
긴축은 민중에 대한 범죄
![]() |
[출처: #globalNOISE 페이스북 페이지] |
칠레에서는 13일 대학생과 고등학생, 교직원들이 자유로운 무상교육을 위해 지속했던 시위에 다시 나섰고 세계적인 냄비시위에 연대를 나타냈다.
약 2만의 시위대는 물리적인 충돌 없이 시위를 시작했으나 이후 바리케이트를 치고 있던 경찰과 충돌했고 경찰은 물대포, 최루가스와 시위자를 색출하기 위한 유색탄을 쏘며 해산을 시도했고 시위대는 돌, 막대기, 시멘트 조각을 던지며 대응했다.
특히 이날 시위에 나선 이들은 의회 교육예산 심의와 10월 28일 개최되는 지역 선거를 주목하며 무상교육을 위한 예산 확보와 정치적 변화를 위해 목소리를 높였다. 칠레인의 70%가 학생들의 무상교육 시위를 지지하고 있다.
‘요소이 132’의 멕시코에서도 이날 냄비시위에 함께 했다. 이들은 시위에 주목시키기 위해 피리, 후라이팬, 냄비 등 집에서 찾을 수 있는 것들을 가지고 나와 긴축에 맞선 세계적 시위에 연대했다.
시위에 참여한 한 사람은 “지금 많은 청년들은 경제위기로 고통당하고 있다. 이들은 미래를 빼앗겼고 이들의 꿈은 불투명하기만 하다. 매일 아침 불안한 앞날을 걱정하며 깨어난다”고 말했다.
한편 12일 수만명의 학생들이 정부의 등록금 인상에 맞서 전국 90여개 도시에서 시위를 벌인 이탈리아에서도 연이어 냄비시위가 벌어졌다.
#글로벌노이즈 준비위원회에 참여한 케일럽 모핀(Caleb Maupin)은 13일 한 언론사와의 인터뷰에서 “우리는 빚 없이는 학교에 다닐 수도 없고, 미래는 파괴되고 있다. 긴축은 민중에 대한 범죄이며 우리에 대한 범죄”라고 밝혔다.
[펌] 강정마을 사람들과 자연의 끈질긴 도전 ① 고공 40m, 목숨을 위협받는 평화 유배자들과의 옥중 인터뷰
카테고리 없음 2012. 9. 24. 01:16http://www.pressian.com/article/article.asp?article_num=10120918004305
앞으로는 강정 바다가 돌고래를 부르고 뒤로는 한라산이 마을을 감싸고 있는 곳. 안으로는 강정천과 구럼비가 아이들을 품어주는 작지만 아름다운 곳, 제주도 강정마을이다. 그런데 지금 강정마을은 국가의 폭력으로 얼룩지고 있다.
세계자연보존총회 장소 바로 옆 생명평화 강정마을, 이곳을 파괴하는 아이러니
며칠 전 폐막한 세계자연보전총회(WCC)에서는 '제주형 의제' 와 제주해군기지 중단 결의안 채택여부가 초미의 관심사로 떠올랐다. 정부, 해군, 제주도의 '친환경적 해군기지 건설', 'WCC 제주해군기지 반대는 주권침해' 라는 주장과 로비에도 불구하고 세계자연보전연맹 공식회원단체 43곳의 후원을 받아 '강정결의안' (Motion 181)이 받아들여졌다. WCC 마지막날인 15일 제11차 회원 총회에서 '강정마을 사람, 자연, 문화 그리고 유산에 대한 보호'가 본회 의제로 채택되었다. 하지만 전 세계 비정부 회원기관의 지지(찬성269,반대120,기권128표)에도 불구하고 정부 회원기관의 반대(찬성20, 반대68, 기권60표)로 최종 결의안으로 채택되지는 못했다.
▲ 범섬과 한라산 그리고 강정천과 구럼비가 있는 세계적 환경마을 강정 ⓒ 조성봉 |
WCC 총회에서는 제주형 의제로 ▲곶자왈 보존 ▲제주해녀 지속 ▲유네스코 국제보호지역 통합관리 ▲세계환경수도 조성 및 평가인정시스템 구축 등의 결과를 얻었다. 하지만 정부와 해군 그리고 제주도는 제주해군기지 문제가 불거지지 못하도록 총회장 내·외부에서 각종 로비와 압력을 행사했다.
정부는 해군기지 반대 의사를 갖고 있다는 이유로 행사 시작 전 해외 비정부기구(NGO) 회원단체 22명을 입국 금지 조치했다. 경찰은 강정마을에서 오는 주민들의 진입 도로를 사전 통제하고 총회장 내·외부에서의 강정 살리기 홍보활동을 방해하면서 WCC가 제주해군기지를 반대하면 한국 사회의 혼란이 가중된다고 이야기했다. 또한 IUCN(세계자연보전연맹) 운영위원회는 강정결의안(motion181)에 대해 총회 상정 철회를 위한 표결을 기습적으로 신청해 정부기구 단체에게도 빈축을 샀다.
국방부와 제주도는 기존에 실시한 환경영향평가가 적법하다고 주장했다. 또 구럼비를 폭파시켰고, 태풍으로 350억 원어치의 케이슨(Caiccon,방파제구조물) 7개가 파손됐는데도 공사는 친환경공법으로 진행됐다고 주장했다. 여기에 붉은발말똥게 등의 야생 생물 서식지 문제가 심각한 상황에서도 아무 문제없이 잘 관리되고 있다는 발표를 했다.
또한 WCC총회는 해군기지 건설과 관계가 있는 삼성으로부터 태블릿 PC 및 현대기아자동차 하이브리드차를 협찬 받는 등 거대 기업의 자본으로부터 자유롭지 못했다. WCC는 국제적인 환경올림픽이라고 명명하는 것이 무색할 만큼 한국 정부, 제주도, 대기업에 이용당하면서 참가 단체들의 신뢰를 잃었다.
한편 강정마을 주민, 평화활동가들과 국내외 환경시민단체들은 WCC 기간 내내 각종 공연과 행진, 생태안내, 토론, 간담회 등 다양한 평화활동을 펼쳤다. 이러한 활동들이 세계 환경단체들에게 국가 폭력으로부터 생겨난 강정의 아픔을 알리는 기제가 됐다.
▲ 세계자연보전총회가 열리는 컨벤션센터 행진 후 외국 참가자들과 춤추는 강정 주민들과 활동가 ⓒ 생명평화강정캠프 |
국가 폭력으로부터 생명, 평화, 민주주의가 무시되어온 강정마을
2012년 9월 현재까지 강정마을 해군기지사업과 관련해 강제 수용된 토지만 총 210필지(284,515㎡)에 달한다. 압수된 차량만 20여대에 손해배상 및 벌금 등으로 5억 원, 그리고 집시법 위반, 업무방해, 공유수면관리법 위반, 일반교통 방해 등으로 연행된 사람만 600여명에 이른다. 이 중 구속 수감된 사람은 강동균, 김종환, 김미량 등 마을 주민과 송강호, 김동원, 김복철, 박석진, 정연길 등 총 21명이나 된다.
해군기지사업은 2007년 사업 결정부터 민주적 절차를 철저하게 무시하며 시작됐다. 현재 사업 추진 과정에서도 입지선정에 대한 부당성은 여전히 유효한 문제다. 또 해군 측에서 직접 제시한 환경영향평가 저감 대책인 오탁수방지막은 수직 길이가 5m가 되어야 하나 실제 설치된 것은 1m에 불과하다. 이밖에도 해군은 문화재청 허가사항 위반, 케이슨 운반선인 플로팅독(SFD 20000호)의 선박안전검사 누락, 발파에 사용된 화약을 신고 되지 않은 경로로 이송하는 등 각종 불법행위를 저질렀다.
▲ 지난 3월 일부 구럼비가 발파되었고 지금도 콘크리트 차량은 공사장으로 들어가고 있다 ⓒ 조성봉 |
해군과 시공사 측의 이러한 불법적인 행태는 행정기관이 아닌 지역주민이 직접 감시하여 밝혀낸 것이다. 시위와 집회에 참가한 평화활동가들을 구타하고 연행하는 경찰, 수많은 불법 폭력과 불법 공사의 증거를 갖고 변호하는데도 연행된 활동가들을 구속하는 검찰과 법원 등의 행태는 국가의 폭력적인 모습을 여실히 보여준다.
강정마을에서는 주민, 활동가, 종교인들이 시멘트 트럭과 중장비를 해군기지 공사장에 들이는 것을 지켜주기 위해 동원된 경찰들과 경비용역들에 의해 폭행, 폭언과 함께 고착(경찰들이 쳐 놓은 사람의 장벽에 가두는 행위)과 불법 연행을 당했다. 뿐만 아니라 건설업체 측으로부터 업무방해 등의 이유로 고소되어 지금도 재판을 치르는 중이다.
▲ 해군기지공사장 앞 가톨릭 미사 중 경찰에 의해 성체가 훼손됐다. 쓰러져있는 문정현신부 ⓒ 박용성 |
특히 매일 오전 11시에 진행해온 가톨릭 미사 시간에 경찰들이 들어와 방해하며 문정현 신부의 성체를 떨어뜨리고 밟는 등 종교의 신성함과 성체의 의미를 훼손한 사건도 있었다. 이 사건이 사회적 파장이 일자 문 신부 고의로 했다고 위키트리를 비롯한 온란인에 홍보했고, 이후 주민들과 강정마을 활동가들에게 더 폭력적으로 변해갔다.
환경영향평가 재 진행 요구에 묵묵부답인 정부
강정마을 구럼비 앞 바다는 수심이 깊고 조류와 파도가 강해서 사석식경사제와 케이슨공법으로 방파제를 지을 경우 이번 볼라벤 태풍이 왔을 때처럼 쉽게 파손될 우려가 있다. 때문에 환경 전문가들과 주민들은 입지타당성과 환경영향평가를 원점에서 다시 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5년이 넘는 시간동안 지속적으로 문제를 제기해 왔다.
김성환 신부, 정연길 목사, 박석진, 김영재, 이용 등 5명의 평화 지킴이들이 화순항 케이슨 제작장을 점거했던 이유도 해군기지사업지로는 최악의 조건인 파도와 조류가 강한 강정 바닷가를 선정한 것에 대한 우려 때문이었다. 태풍 볼라벤으로 인해 350억의 예산이 낭비되었고 이를 해체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바다생태계의 파괴를 걱정한 것이다.
특히 볼라벤과 덴빈이 수많은 40톤 테트라포트(Tetrapod, 삼발이)와 7개의 8,800톤 케이슨을 파손시키며 수백 억의 정부 예산은 낭비됐다. 이를 지켜본 관계자들과 전문가들은 충분한 검토 없이 진행하는 해군기지사업이 완공 됐을 때 생길 수 있는 문제는 더 심각할 수밖에 없다고 우려한다. 하지만 정부, 해군, 기업, 제주도 등은 군사와 해양 전문가들의 의견조차 무시한 채 제주 해군기지 건설이 한국과 제주도의 미래를 결정할 수 있는 중요한 대형 국책사업이라고만 강조한다.
▲ 태풍 볼라벤으로 파손된 케이슨 ⓒ 조성봉 |
국가의 폭력을 몸으로 느끼지만 마음은 강정 바다를 자유롭게 헤엄칩니다
9월 6일 새벽 화순항 케이슨 제작장을 점거하고 제주해군기지 반대를 외치며 40m 고공에서 농성을 벌인 다섯 명의 활동가는 경찰에 연행됐다. 이 중 세 사람은 단순 참가자들이라는 이름으로 석방됐지만 박석진 평화활동가와 정연길 목사는 체포적부심이 기각되어 교도소로 이감되었다. 현재 영장실질심사 중인데 도주 우려와 기존 강정 활동을 참작해서 검찰과 법원에서는 구속 수사를 진행할 계획이다. 불법적인 연행 과정과 구속 수사 이유가 필요 없는 상황에서도 구속을 강행한 것이다.
평상시 마을 주민들이나 평화 활동가들, 경찰들이 다칠까봐 안타까워했던 그들의 현재 심경을 들어보고자 강정 활동가들이 옥중 인터뷰를 진행했다. 정연길 목사는 기독교대한감리교회 목회자로 2008년 촛불정국 시기에 1000여명의 시민 평화행동단과 함께 민주주의를 위한 촛불에 참여했다. 지난해 8월 강정에 내려와서 강정마을 주민들과 해군기지사업을 반대활동을 벌였다. 올해 3월 구럼비 발파 때 다시 제주로 내려와 비폭력 평화 활동을 전개했다.
강정마을의 기지사업단과 공사장 정문에서 항상 검은 옷을 입고 검은 안경을 쓰고 있는 박석진씨는 평화와 통일을 여는 사람들이라는 단체에서 활동하고 있다. 그가 군대에 있었던 1991년 명지대 강경대 학생이 경찰의 진압과정 중에 살해당한 후 양심선언을 하고 수배생활과 옥살이를 겪었고 전경문제를 통해 한국군의 비민주적, 비자주적인 문제를 깨달았다. 이후 집회 현장에서 젊은 전경들을 대할 때 자신의 문제가 그때 해결되지 않아 후배인 이 친구들이 같은 고통을 겪고 있다는 생각에 아쉬움과 안타까움을 표하곤 했다.
국가 폭력에 노출된 강정평화 활동가들과 주민들은 하루에도 몇 번씩 경찰과 용역들에 의해 아스팔트에 내동댕이쳐지고 끌려가고 경찰서에 수감된다. 이런 일들의 최전선에 있는, 그리고 지금은 수감되어 있는 박석진 씨와 정연길 목사는 오랫동안 겪어온 국가 폭력에 노출됐었다. 하지만 그들은 의외로 평화로웠다. 강정을 사랑하는 사람들은 그들로부터 내면의 자유와 위로를 받고 그들은 강정의 생명평화의 이야기를 하고 미래의 희망을 꿈꾸며 행복한 도전을 준비하고 있다.
강정해군기지는 생명, 평화 그리고 민주주의의 관점으로 접근해야 박용성 : 외부 사람들이 부르는 별칭이 특이하던데요. 소금사탕이라고. 정연길: 본명은 졍연길이고 목회를 하고 있는데 목사나 이름을 부르는 것보다 별칭을 불러줄 때 더 기분 좋습니다. 주위 사람들은 저를 세상에서 소중한 사람이 되라고 소금사탕이라고 부릅니다. 박용성: 강정 평화 활동 이전에 촛불 정국에 여러 활동을 했던 것으로 알고 있는데요.
박용성: 강정 평화 활동을 하기위해 내려오게 된 계기가 있다면요. 정연길: 강정에 대한 소식을 자주 접하다가 2011년 9월 2일 구럼비로 가는 길에 펜스가 쳐진다는 소식을 듣고 강정에 처음 왔어요. 그리고 올해 3월 6일 구럼비 폭파가 있을 때 강정에 내려와서 지금까지 상주하다시피 하고 있어요. 무지막지한 국가 폭력에 큰 희생을 치르고 있는 마을 주민들 곁에 있고 싶었고 주권을 가진 국민으로서 정권의 잘못을 바로잡고 싶어 왔습니다. 박용성: 화순 케이슨 위에서 고공 농성하다 구속된 것으로 알고 있는데 그때 상황과 소회를 설명해줄 수 있나요. 정연길: '어렵습니다. 위험합니다. 사람이 다칠 수도 있습니다. 안전 보장이 힘듭니다.' 지상 40m 공 크레인 위에서 현장 대처를 하기 위해 급파된 한 인부의 무전 내용이 들렸습니다. 그러자 무전기 저 편에서는 '진압해! 즉각 실시해!'라는 말만 계속 반복해서 들리고 있었습니다. 혹시라도 사람이 다치거나 죽을 수도 있다는 가능성은 전혀 고려되고 있지 않은 상황이었습니다. 이 사람들에게 국민의 목숨과 생명의 위험성보다 훨씬 더 우선이면서 소중하게 여겨지는 가치는 무엇이 있을까 심한 자괴감이 들었습니다.
'진압해'라는 이야기를 40m 고공 크레인에서 듣는 순간 소름이 오싹 끼쳐 왔습니다. 전혀 훈련받지 않은 공사장 인부들이 고공 크레인의 진압조로 투입되었습니다. '그 위험천만한 명령을 내린 상관은 누구이고 묵묵히 따르는 이 사람들은 누구인가' 만감이 교차했습니다. 용산처럼 모두를 위험에 빠트릴 수도 있는 참으로 무모한 결정이었습니다. 매트리스도 안전망도 고가사다리도 없이 허공을 가로지르며 내동댕이쳐졌습니다. 경찰 측에서는 어떤 사전 설득도 접촉도 없었습니다. 무조건 힘으로 찍어 누르고 팔다리를 꺾고 밧줄로 옭아매고 무릎으로 짓이겨져서 제압당했고 몸이 40m 상공에서 노출되면서 옮겨지는 아찔한 순간이었습니다. 경찰은 3차 진압을 시도하는 대형 바구니에 탑승하여 뒤늦게 나타나서 검거만 하더군요. 삼성물산은 돈 좀 가졌다고 돈 몇 푼 더 벌기 위해서 시위대의 목숨뿐만 아니라 경찰, 직원, 용역들의 목숨도 거머쥐고 흔들었습니다. 누가 돈에게 권력과 사람의 목숨을 빼앗아도 될 수 있다는 권한을 부여하고 있을까요? 누가 내 옆의 소중한 생명들을 하찮게 여기며 '죽음의 명령'을 내릴 수 있을까요? 박용성: 강정마을 해군기지 사업이 어떤 문제가 있다고 생각하시나요 정연길: 강정해군기지는 생명, 평화 그리고 민주주의의 관점에서 문제가 있습니다. 첫째, 생명과 자연 만물은 모두가 하나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서로에 대해 상호 존중과 예의를 갖추어야하지요. 강정에서는 생태계를 파괴하며 지나치게 인간중심적인 개발이 강행되고 있습니다. 둘째, 평화는 전쟁기지를 늘리는 것과 살상 무기를 더 확보하는 것으로 절대 지켜질 수 없습니다. 평화는 평화로써만 지켜질 수 있다고 봅니다. 셋째, 민주주의는 주민들의 동의와 국민적인 합의를 통해서만 얻어질 수 있는 소중한 가치입니다.동의와 합의 없이 오로지 경찰 폭력에 의존해서만 진행되니 자본도 똑같은 폭력을 따라가게 되는 거죠. 이런 이유로 제주해군기지는 절대 안 됩니다. 박용성: 장기적인 관점에서 강정마을이 어떻게 변화되길 바라는지요. 정연길: 지난 5년간 벌여온 강정마을 해군기지 건설 반대 운동은 전 세계 '비폭력 평화운동'의 모범으로 손꼽히며 연구대상이 되고 있습니다. 또 평화를 사랑하는 세계 시민들의 우정과 연대의 발걸음이 끊이지 않고 있습니다. 강정마을이 전 지구촌 사람들이 아끼고 흠모하며 즐겨 찾는, 세계에서 가장 아름다운 생명평화 마을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박용성: 현재 구속되면서 유치장에서 주로 하는 활동이나 내용은 무엇인지요. 정연길: 여러분들이 마음 모아 보내주신 사식, 다과류, 과일 등으로 유치장 내에서 PX를 차려도 될 정도입니다. 보내주신 따뜻한 격려와 사랑에 몸둘 바를 모르겠습니다. 진심으로 고맙습니다. 그동안 보고 싶었던 책을 마음껏 보고 있습니다. 백배 명상과 기도 그리고 체력 단련도 열심히 하고 있습니다. 나날이 건강해지고 있는 것을 실감합니다. 이곳으로 평화의 휴식을 취하러 오세요.(웃음) 박용성: 강정마을 주민과 평화지킴이 그리고 국민들께 하고 싶은 이야기가 있다면 정연길: 두려움을 자극하고 공포를 극대화 시켜서 국민들을 통치하려는 정부의 시도를 어떻게 종식시킬 수 있을까 함께 고민했으면 합니다. 폭력으로 구속으로 벌금으로 길들일 수 있는 만만한 대한민국 국민들이 절대 아닙니다. 그 당당한 선언과 행동을 함께 해보면 어떨까요? 강정마을을 위해 마음을 모아주세요 이미선: 박석진씨는 강정마을에서 여러 이름으로 불리던데요 박석진: 강정에서 지킴이들 사이에서는 '해민'이라고 불리기도 해요. 다들 본인들이 편한 대로 부르지만.(웃음) 해민은 예전에 민주화 투쟁을 하다 수배 중일 때 친구가 지어준 가명입니다. '해방민중, 해방민족'을 표현한 말인데 당시는 NL(national liberation,민족해방)과 PD(people democracy,민중민주)의 이념논쟁이 한창일 때였죠. 어쭙잖은 인식이었지만 어느 한쪽으로 치우쳐서는 안 된다는 생각을 했던 것 같아요. 지금도 별로 틀린 것 같진 않습니다. 이미선: '평화와 통일을 여는 사람들'에서 활동하시는데 강정마을에서 오랫동안 활동하시는데요.
이미선: 이번 케이슨 점거를 하고 연행되었을 때 느낀 점이 있다면? 박석진: 케이슨 운반선 점거는 이곳에서 활동하는 평화 지킴이들의 마음속에 한번쯤은 자리했을 투쟁의 방법입니다. 왜냐하면 경량800톤의 7층 건물 규모의 거대한 구조물은 제주해군기지 사업의 핵심인 방파제 공사의 골간을 이루며 그 자체로 하나의 상징을 갖던 대상이었어요. 이곳에 올라간다는 것은 그들의 행위를 상징적으로 부정하는 의미를 갖는다고 생각했어요. 그리고 결국 해냈습니다. 생각했던 것보다 긴 시간을 버티진 못해서 안타까웠지만요. 그래도 아무도 다치지 않고 가장 평화적인 방법으로 그곳에서 우리의 외침을 펼칠 수 있었어요. 의미가 있었다고 생각합니다. 한 가지 놀라웠던 것은 당시 현장에 출동했던 경찰들의 무책임이었습니다. 해결을 위한 최소한의 노력조차 하지 않은 채 진압 업무마저 공사장의 인부들과 용역직원들에게 맡겨버렸지요. 경찰들도 인정하는 사항인데 40m 고공이어서 위험한 상황이었는데도 그물 같은 최소한의 안전장치도 하지 않은 채 우리들을 그 고공에서 끌어낸 것입니다. 인부들에게 끌려나오며 잠시 제 몸이 공중에 떠 있는 것을 느꼈어요. 40m 상공에서 말이죠. 순간 공포를 느꼈던 기억이 나요. 그리고 그 기억은 한동안 사라지지 않았습니다. 제 느낌을 함께 행동했던 정연길 목사님에게 말했더니 그도 같은 느낌이었다 하더군요. 그러면서 말했습니다. '몇 명 정도는 죽어도 할 수 없다'는 경찰의 판단이 있었던 것 같습니다. 맞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러다 저나 정목사님 그리고 다른 3명의 평화지킴이들이 떨어져 죽었어도 경찰이나 건설업체는 꿈쩍도 하지 않았을 거라는 생각이 들었죠. 이미 용산에서, 그리고 쌍용차 사태에서 보여준 정치권력의 일관된 태도이지요. 강정 역시 예외는 아닌 것 같습니다. 이미선: 평화의 관점에서 강정마을 해군기지 사업을 어떻게 평가하시나요. 박석진: 제주해군기지는 사업의 목적부터 다시 검토되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정부는 대한민국의 안보를 위해서 필요하다 하지만 며칠 전 장하나 의원이 폭로한대로 제주해군기지는 미국의 요구에 한국이 부응하는 것입니다. 결국 미국과 중국의 군사적 갈등의 한가운데 제주가 서 있다는 것입니다. 국방부가 '민군복합항' 자체를 스스로 부정한 상황에서 무엇을 근거로 이 사업이 강행되는지에 대한 질문이 던져져야 합니다. 해군기지가 우리 국민의 안전과 평화에 도움이 된다는 정부와 제주도의 주장을 받아들일 수 없습니다. 또 얼마 전에는 태풍 볼라벤으로 인해 강정마을 일대의 해군기지 공사장이 쑥대밭이 되었고 강정 앞바다에 떨어트린 케이슨 7개가 폐기물이 되어버렸습니다. 350억 정도의 엄청난 재정을 낭비한 것도 안타까운 일인데 지금도 케이슨 폐기물들은 강정 바닷가를 나뒹굴고 있습니다. 만약 이것들을 해체하기 힘들어 폭파하게 된다면 제주 바다의 생태 파괴가 또 일어날 수 있습니다. 평화와 환경적인 관점에서 제주해군기지 문제는 전면적으로 다시 검토되어야 합니다. 안보와 평화, 입지 타당성, 관광과 경제성, 환경과 생태 등 모든 측면에서 말입니다. 이미선: 박석진님이 바라보는 강정마을의 미래는 어떤가요? 박석진: 얼마 전 구럼비에 들어갔던 분의 말을 들으니 아직도 많은 부분이 그대로 살아 있다고 들었습니다. 지금이라도 공사를 멈추면 구럼비를, 그리고 강정의 그 아름다운 바다를 지켜낼 수가 있습니다. 얼마간의 훼손은 오히려 우리에게 교훈으로 남을 것입니다. 공사를 멈추고 저 삼발이들을 걷어내고 그곳에 평화의 공원을 만들었으면 합니다. 세계에서 가장 인상적이면서도 교훈이 되는 평화의 공간으로 기억될 겁니다.
이미선: 곧 구속적부심이 열릴 예정이라던데 무엇을 준비하고 있나요. 박석진: 지금은 들어온 지 얼마 되지 않았고, 며칠 후 구속적부심이 열릴 예정이어서 관련 준비를 차분하게 하고 있습니다. 그동안 제가 했던 모든 것들을 모아서 구속시키려고 하기 때문에 준비할게 많이 있기도 하지만 검사가 '도주우려'가 있어 꼭 구속을 시켜야 한다고 강변을 하더군요. 설사 제주 강정에서 쫓아내도 다시 돌아올 건데 도주 우려라니 좀 어처구니가 없습니다.(웃음) 많은 분들의 관심 덕분에 건강하게 잘 보내고 있습니다. 이미선: 구럼비와 강정천 그리고 강정마을을 아끼는 국민들을 '강정앓이' 라고 하는데, 평화와 생명을 사랑하는 수많은 사람들에게 하고 싶은 말이 있다면요. 박석진: 30여명도 안 되는 강정마을 주민과 평화지킴이들이 공사장에서 차량을 막아보겠다고 평화적인 방법을 사용하는데 300~400여명의 경찰이 몰려오더군요. 하루에도 몇 번씩 공사장 정문에서 옆으로 끌려갔는데요. 최고기록은 하루 9번까지 소위 '고착'(경찰들이 쳐 놓은 사람의 장벽에 우리를 가두는 것)을 당해봤어요. 한번 끌려나올 때마다 그 곳을 지키는 사람들의 몸에는 시퍼런 멍과 생채기들이 생깁니다. 경찰들이 끌어낼 때 얌전히 끌어내진 않기 때문이죠. 남녀 경찰 상관없이 꺾고 비틀고 꼬집습니다. 그래서 좀 과한 경찰을 붙들고 늘어지면 오히려 우리를 폭행 범으로 몰고 연행, 고소, 고발을 합니다. 기가 막히지만 그런 것에 일일이 대응하기도 힘이 듭니다. 하루 종일 그렇게 경찰과 몸싸움을 하고 나면 녹초가 되기 때문이에요. 그런데도 이런 처절한 상황이 잘 알려지지 않더라고요. 트위터나 페이스북 등 SNS마저 없었으면 어땠을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하지만 힘겨운 현장을 지키고 있는 강정마을 사람들은 있는 힘을 다해 강정을 지켜낼 겁니다. 이를 위해 좀 더 많은 이들의 관심이 필요합니다. 쉽지 않지만, 지금 함께하지 않으면 영영 함께 할 수 없게 될지도 모르기 때문입니다. '돌이킬 수 없는 수준으로의 파괴 그리고 좌절과 자포자기'가 해군기지를 만들겠다는 정부와 해군 그리고 기업이 노리는 겁니다. 그전에 함께 해야 합니다. 마음을 모아주세요. 그리하면 함께 할 방법들은 찾아지리라 생각합니다. 각자의 위치에서 각자 가능한 방법으로요.
|
/박용성 생명평화강정캠프국장,이미선 평화활동가
[강정소식] 세계자연보전총회 기간 중 강정지킴이 2명 구속
NUDA POTENZA 2012. 9. 10. 03:36[단신] WCC기간 해군기지 반대 시위 종교인 등 2명 구속 (뉴시스)
http://news.nate.com/view/20120908n09468
강정주민, 케이슨 바지선 점거 "생명.평화, 좌시못해" (제주의 소리)
http://www.jejusori.net/news/articleView.html?idxno=119858
해군기지 반대 바지선 점거 시위 (경향)
http://news.nate.com/view/20120906n22385